살아가는 이야기

우파니샤드의 소개 3

미소천사1004 2022. 11. 29. 01:09

  우파니샤드는 묻습니다.  아직 알지 못한 그 무엇을 이미 알고 있는 어휘로 표현한다는 것이 가능한가?  우파니샤드는 답합니다.  그것은 ‘아니요, 아니요’라고

  우파니샤드는 수백가지가 존재하는데 이 중 샹카라에 의해 주석된 이샤, 께나, 까타, 쁘라사나, 문다까, 만두끼야, 따이띠리야, 아이따레야, 찬도기야, 브리하드아란야까, 슈베따슈바따라 우파니샤드 11가지를  가장 주요한 우파니샤드라고 합니다.

 

  이중 이샤 우파니샤드는 야주르 베다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전체 우파니샤드를 대표합니다.

  께나우파니샤드는 사마베다 계열의 딸라와까라 브라흐마나의 아홉 번째 장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브라흐만에 대한 내용입니다.  까타 우파니샤드는 사제의 아들 나찌계따가 죽음의 신 야마(염라대왕)에 찾아가 아그니 신과 죽음에 대해 묻는 내용입니다.

  쁘라사나 우파니샤드는 성자 삐빨라다가 찾아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습니다.

 

  문다카우파니샤드는 후기의 우파니샤드의 하나로 제례보다는 고행을 통해 고귀한 지혜를 얻으리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만두끼야우파니샤드는 샹카라의 주석서를 통해 불이일원론의 교본으로 자리 잡습니다.  따이띠리야우파니샤드는 흑야주르베다 계열에 속하며 브라흐마나의 일부로 브라흐만이 육신 안에 어떻게 들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이따레야우파니샤드는 리그베다 아란야까의 일부로 우주의 궁극적인 실체로서의 아뜨만에 대한 내용입니다.

 

  찬도기야 우파니샤드는 분량이 매우 긴 장편에 속하는 우파니샤드로 사마베다의 핵심이 되는 찬양의 상징적 용어들을 다양한 설화 형식으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성자 우샤스띠와 왕의 대화, 소년 자발라가 가르침을 얻기 위해 소를 몰고 나가 황소, 백조, 물새 등으로부터 가르침을 얻는 부분, 아루나의 아들 슈베따께뚜가 12년간 베다를 배우고 돌아왔으나 그것을 넘는 부분을 아버지에게 배우는 부분, 조물주 쁘라자빠띠 앞에서 인드라 신과 비로짜나 악마가 32년간 고행을 통해 지혜를 구하지만, 인드라는 다시 101년간 수행을 통해 지혜를 얻는 부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브리하드아란야까 우파니샤드도 분량이 대단히 긴 장편의 우파니샤드로 사제 가르그야와 왕과 아자따사뜨루 간의 대화, 성자 야쟈발끼야와 아내 마이뜨레이 간의 대화, 비데하의 왕 자나까 앞에서 성자 야쟈발끼야와 사제들 간의  대화, 조물주 쁘라자빠띠의 세 아들인 신과 인간, 아수라 간의 대화, 쁘라와하나 왕과 사제 가우따마 간의 대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슈베따슈바따라우파니샤드는 샹키야식의 구조적 방법, 요가의 의미, 숭배 대상으로서 신을 인정하고 신에 대한 신애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파니샤드는 세상이 환영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따라서 영원하지도 안정된 보금자리도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언젠가는 사라질 이 헛된 세상을 열심히 살아가야 할까요?  그것은 비록 이 세상이 영원하지도 않으며 불안정하지만 바로 이곳을 통해서만이 그 영원하고 변함없는 자유롭고 평온한 브라흐만의 자리로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생에 대한 아리아인종의 특이한 사상은 윤회라는 사고로 발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윤회에 대한 사고는 원주민인 드라비다족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고통이 가득 찬 현세에서 선한 행위를 쌓아 내생에는 더 나은 생으로 환생하게 된다는 사상은 드라비다족에게도 매우 매력있게 받아들여져 인도철학의 기본적인 사고로 자리를 잡게 됩니다.

  BC 1000~600년 경에 쓰여진 우파니샤드는 베다 제식의 형식성 강조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여 사상의 자유로운 전개를 유도하고 여러 학파들의 탄생을 초래하게 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불교와 자이나교입니다.

  베다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불교,자이나교, 내세를 부정하는 유물론(챠르바카 학파)이 탄생하고, 베다 문헌에 직접적으로 근거를 두되 신은 부정 하지만 제식은 강조하는 미맘사학파와 사색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베단타학파, 베다에 근거하지는 않으나 베다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상키야, 요가, 니야야, 바이쉐쉬카학파의 탄생을 불러오게 됩니다.

 

  아리아인종 중 크샤트리야 계급과 바이샤 계급은 브라만 계급의 형식적인 제식 강요에 반발하여 참 자아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 해탈을 추구하는 불교와 자이나교에 선풍적인 지지를 보내게 됩니다.

728x90